아이가 여름만 되면 피부가 빨갛게 올라오고 가려워하는 모습을 보면 마음이 안쓰럽죠.
특히 땀띠는 한 번 생기면 금방 사라지지 않고, 긁다가 피부가 상하거나 2차 감염이 될 수 있어 여름철 육아 필수 관리 항목입니다.
오늘은 땀띠 크림 사용법, 옷감 선택, 냉방기 사용 시 주의사항을 중심으로 아기 피부를 지키는 여름 땀띠 예방과 시원한 목욕법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
땀띠가 생기기 전 미리 막는 ‘예방 케어’와 땀띠 크림 사용법
여름에 땀띠가 생기는 가장 큰 이유는 땀샘이 막혀 열과 습기가 피부에 오래 머무르는 것입니다.
아기들은 어른보다 땀샘이 작고 피부가 얇아 조금만 더워도 쉽게 땀띠가 생기죠.
예방의 핵심은 땀이 피부에 오래 머물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외출 후나 땀이 난 직후에는 물수건으로 살짝 닦아주거나 미지근한 물로 샤워를 시켜주세요.
목 뒤, 겨드랑이, 무릎 뒤, 팔꿈치 안쪽, 기저귀 라인 같은 땀띠 취약 부위는 특히 신경 써야 합니다.
땀띠가 생겼을 때는 파우더 타입보다는 크림 타입의 땀띠 전용 제품을 추천합니다.
파우더는 바를 때는 보송해 보여도, 시간이 지나면 땀과 섞여 반죽처럼 변해 오히려 모공을 막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크림을 고를 때는 다음 기준을 참고하세요.
무향·무색소: 자극 최소화
가벼운 수분감: 끈적임 없이 흡수
진정 성분 함유: 칼라민, 알로에, 판테놀 등
또한 땀띠 부위에 크림을 바른 후에는 통풍이 잘되도록 옷을 입히고, 해당 부위를 자주 긁지 않도록 손톱을 짧게 깎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통풍과 피부를 함께 생각한 ‘여름 옷감 선택법’
땀띠 예방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옷감 선택입니다.
아무리 자주 씻기고 크림을 발라도, 피부가 답답한 옷을 입으면 금세 땀띠가 번집니다.
여름 아기 옷감 선택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면 100% 또는 대나무 섬유
땀 흡수력이 좋고 통기성이 뛰어남
세탁 시에도 쉽게 변형되지 않음
헐렁한 핏
몸에 달라붙지 않아 열과 습기가 머무르지 않음
옅은 색상
햇빛 반사를 도와 체온 상승 방지
봉제선 최소화
피부 마찰로 인한 발진 예방
또한 속싸개나 겉싸개 사용 시에도 통풍이 중요합니다.
특히 낮잠 시간에 선풍기나 에어컨을 켜더라도, 바람이 직접 닿지 않게 하고 옷은 얇게 입히는 것이 좋습니다.
기저귀 부위도 땀띠가 잘 생기기 때문에, 기저귀를 조금 더 자주 갈아주고 통풍 시간을 주면 훨씬 예방 효과가 큽니다.
냉방기 사용 시 주의사항과 시원한 여름 목욕법
여름에 냉방기를 아예 안 쓸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냉방기 사용이 아기 피부에 건조함과 체온 변화를 줄 수 있으니 몇 가지 원칙을 지켜주세요.
냉방기 사용 시 주의사항
실내 온도는 26~27도 정도로 유지
바람이 아기 몸에 직접 닿지 않게 바람 방향 조절
2~3시간마다 잠시 꺼서 환기
실내 습도는 50~60% 유지 (가습기 활용 가능)
시원한 목욕법
여름이라고 차가운 물로 씻기면 오히려 피부에 자극이 됩니다.
목욕물 온도는 36~37도 정도가 적당하며, 목욕 시간은 10분 이내로 짧게 해주세요.
목욕 시 순한 아기 전용 워시를 사용하되, 땀띠가 심한 부위는 손으로 살살 문질러 주고, 목욕 후에는 물기를 톡톡 눌러 닦은 뒤 바로 보습제를 발라야 피부 건조를 막을 수 있습니다.
여름에도 보습은 필수라는 점, 잊지 마세요.
여름 땀띠는 생기기 전에 예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크림, 옷감, 냉방기, 목욕법까지 생활 전반에서 아기 피부를 위한 습관을 들이면, 한여름에도 깨끗하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저도 아이 키우면서 여러 방법을 시도해 봤지만,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더라고요.
올여름은 우리 아기 피부, 시원하고 보송하게 지켜주세요!